"인간이란 무엇인가"

2024. 5. 13. 08:27읽을거리

아래 내용은 백종현이 지은 "인간이란 무엇인가"가 출처임을 밝혀 둔다.

1. [순수이성비판]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1.1 계몽, 스스로 생각하기

인간의 인식 대상이 감각적 대상으로 국한된다는 칸트의 말은 매우 중요하다... 이 말이 함축하는 바는, 자연과학적 지식만이 엄밀한 의미에서 지식이라는 것이다. 자연과학 외에는 지식이 아니다. 칸트는 지식이라는 말을 쓸 수 있는 분야는 자연과학뿐이라고 보았다.

칸트는 의식활동의 각 영역을 구분하고, 영역마다 가진 고유의 가치가 전체 인간의 삶을 형성함을 내보이고자 했다... 이러한 사변을 통해 칸트가 하고자 한 바는, 지식에게는 그에 알맞은 지위를 주고, 자연과학적 대상이 아닌 것과 관련한 의식활동에는 또한 그에 알맞은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것이다.

1.2 칸트 '초월철학'의 요점

1.2.1 공간/시간은 존재의 관문이자 지평이다.

1.2.2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우리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 존재자인지 아닌지를 누가 결정하는가? 감성이다... 그런데 칸트에 오면 '실재적'인 것은 인간의 인식 활동에 의해 '실제적'인 것으로 규정되는 것이고, 실재적이라고 규정된 것만이 '현실적'으로 있는 것이다.

- 더 좋은 이론체계를 기다리며

2. [실천이성비판] 나는 무엇을 행해야만 하는가?

선이란 무엇인가?

칸트철학의 정수, [실천이성비판]

3. [판단력비판] 나는 무엇에서 흡족함을 느낄 수밖에 없는가?

[판단력비판] 서론

칸트의 '미학'

칸트의 이상주의

'읽을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취예측모형  (0) 2024.06.14
고병권의 "자본" 강의  (0) 2024.05.09
"엄마는 그래도 되는 줄 알았습니다"  (0) 2024.05.01